라이믹스: 두 판 사이의 차이

Gaon12 (토론 / 기여)
내용 다듬
Gaon12 (토론 / 기여)
XE Admin Help: 사라짐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라이믹스 ==
You can also read to [[Rhymix|English]]!
라이믹스(Rhymix)는 PHP 기반의 오픈소스 CMS로, 기존의 [[XpressEngine|XE]]를 포크하여 발전시킨 프로젝트입니다. 보다 빠른 보안 패치와 사용자 친화적 환경을 제공하며, 활발한 커뮤니티와 개발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
| [[파일:rhymix.png|300px]]
|-
| 현 라이믹스의 로고
|}
{|
| [[파일:rhymix_old.png|300px]]
|-
| 예전 라이믹스의 로고
|}


[[파일:rhymix.png|300px|center]]
:현재 라이믹스 로고


[[파일:rhymix_old.png|300px|center]]
{{틀:인용문|Rhyme + Remix {{틀:=}} "RHYMIX"!}}
:예전 라이믹스 로고
[https://rhymix.org 라이믹스 공식 홈페이지] [https://github.com/rhymix/rhymix 깃허브 저장소]
==정보==
[[XpressEngine|XE]]를 포크(fork)하여 진행중인 PHP 기반의 오픈소스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으로, 기반 CMS인 [[XpressEngine|XE]]보다 활발하게 프로젝트가 운영되고 있다. 기존의 XE가 보안패치만 진행하고 쌓여 있는 수많은 개선사항들은 추가되지 않아 XETown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인용문|Rhyme + Remix {{틀:=}} "RHYMIX"!}}
XE에서 분기했을때 임시로 썼던 이름은 XETOWN Fork, XETOWN REMIX(XTR)라고 불렸다.[https://github.com/rhymix/rhymix/issues/31] 토론을 통해 라이믹스(Rhymix)로 이름을 정했다.


[https://rhymix.org 라이믹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github.com/rhymix/rhymix 깃허브 저장소]
라이믹스는 시급한 버그, 보안패치를 우선적으로 패치하며 보안패치로 명을 잇고 있는 XE와 호환되지만 더 빠르고 편한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


== 개요 ==
위의 내용들을 정리하자면 [[XpressEngine|XE]]의 개선버전이라 할 수 있다.
라이믹스는 [[XpressEngine|XE]]에서 분기되어 개발되었으며, XE의 보안 패치와 개선사항을 신속하게 반영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환경을 제공합니다. 초기 개발 시에는 "XETown Fork" 또는 "XETown REMIX(XTR)"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내부 토론을 거쳐 현재의 "라이믹스"라는 명칭이 확정되었습니다.


== 주요 특징 ==
==라이믹스의 버전==
* **보안 강화**: 시급한 버그와 보안 취약점을 우선적으로 패치하여 안전한 운영을 지원합니다.
라이믹스의 버전별 특징은 [[라이믹스/버전]] 문서와 [[라이믹스/릴리즈 노트]]를 확인하자.
* **사용자 편의성**: 개선된 UI와 관리 도구를 통해 XE보다 사용하기 쉬운 환경을 제공합니다.
* **확장성**: 다양한 모듈과 애드온을 통한 기능 확장이 용이하며, 서드파티 개발자들의 기여도 활발합니다.


== 릴리즈 노트 및 변경 사항 ==
====릴리즈 노트와 Changed Files====
라이믹스는 최신 업데이트 정보와 각 버전의 변경 내역을 [https://rhymix.org/news 릴리즈 노트 및 Changed Files]에서 제공합니다. 각 버전의 상세 패치 내역은 [[라이믹스/버전]] 및 [[라이믹스/릴리즈 노트]]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라이믹스가 2.0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https://rhymix.org/news 릴리즈 노트와 Changed Files를 제공]한다.


== 최소 시스템 요구 사항 ==
각 버전별 패치 내역과 해당 버전의 압축파일, 전버전 사용자들을 위한 Changed Files를 제공한다.<ref>main 브랜치(구 master 브랜치)에 한함</ref>
라이믹스의 최소 사양은 [[라이믹스/사양]] 문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특히 PHP 버전 등 필수 요소가 충족되지 않으면 설치 및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XE에서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모듈 및 애드온 ==
각 버전별 릴리즈 노트는 [[라이믹스/릴리즈 노트]] 문서에서 확인하자.
라이믹스는 기능 확장을 위해 모듈과 애드온을 지원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듈은 시스템 핵심 기능을, 애드온은 추가 기능이나 모듈로 구현하기 어려운 요소를 담당합니다.


=== 기본 모듈 및 애드온 ===
==최소사양==
* 모듈:
라이믹스의 최소사양은 [[라이믹스/사양]] 문서에 적혀져 있다. 문서에 적혀져 있는 최소사양을 넘기지 못한 경우, '''특히 PHP 버전'''을 넘기지 못하는 경우에는 라이믹스를 사용 할 수 없다.
  * [[XpressEngine/모듈/엮긴글|엮긴글]]
 
  * [[XpressEngine/모듈/XE SEO|XE SEO]]
최소사양은 XE보다 높기 때문에 XE에서 넘어오는 경우 반드시 확인해 보자!
* 애드온:
 
  * [[XpressEngine/애드온/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
== 모듈과 애드온 ==
라이믹스에서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들이 있다. 모듈과 애드온<ref>위젯도 있지만, 위젯은 엄연하게 보면 하나의 모듈이다. 레이아웃도 마찬가지.</ref>으로 불린다.
 
애드온의 경우 모듈 시작 전과 후 등 자유롭게 호출할 수 있지만, 모듈은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듈로 구현이 불가능한 요소는 애드온으로 처리한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믹스/애드온]] 문서를 참고하자.
 
애드온을 남발하는 경우,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없는 모듈은 끄거나 삭제하는 것을 권장한다.
 
=== 서드파티 모듈과 애드온 ===
유저들이 모듈과 애드온들을 제작해 배포하기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blockquote>'''모듈'''


=== 서드파티 모듈 ===
* [[XpressEngine/모듈/슈퍼 캐시|슈퍼 캐시]]
* [[XpressEngine/모듈/슈퍼 캐시|슈퍼 캐시]]
* [https://xetown.com/download/278757 출석부 모듈]
* [https://xetown.com/download/278757 출석부 모듈]
* [https://xetown.com/download/17765 경험치 모듈]
* [https://xetown.com/download/17765 경험치 모듈]


=== 서드파티 애드온 ===
<blockquote>'''애드온'''
 
* [https://xetown.com/download/1564278 미디어 임베드]
* [https://xetown.com/download/1564278 미디어 임베드]
* [https://xetown.com/download/1545419 게시물 관리 애드온]
* [https://xetown.com/download/1545419 게시물 관리 애드온]
* 기타 자료는 [[XETOWN]]의 [https://xetown.com/download 공개자료실 (Major)], [https://xetown.com/forks 수정자료실 (Minor)] 및 [[Rhymix Auto Install Repository]]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XE에서 라이믹스로의 마이그레이션 ==
그 외의 서드파티 모듈 및 애드온은 [[XETOWN]]의 [https://xetown.com/download 공개자료실 (Major)], [https://xetown.com/forks 수정자료실 (Minor)], [[XpressEngine]] 자료실을 포크한 [[Rhymix Auto Install Repository]] 등에서 확인할 있다.</blockquote></blockquote>
XE 사용자라면 [[라이믹스/XE에서 넘어오기]] 문서를 참고하여 원활한 전환을 진행할 있습니다.


== 업데이트 방법 ==
==XE에서 넘어오는 방법==
라이믹스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업데이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라이믹스/XE에서 넘어오기]] 문서를 확인하자!
==업데이트 방법==
라이믹스 뿐만 아니라 모든 소프트웨어들은 업데이트를 꾸준히 해야 한다. 특히 라이믹스는 XE와 달리 수시로 올라오기 때문에 자주 업데이트를 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 Git을 이용한 업데이트 ===
더욱 더 자세한 내용은[https://github.com/rhymix/rhymix-docs/blob/master/ko/introduction/index.md 여기]에서 확인하자.
라이믹스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한 ,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git 이용===
<syntaxhighlight lang="console">
라이믹스를 git으로 clone한 경우는 간단히 git 명령어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라이믹스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한 ,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syntaxhighlight lang='console'>
root@gaon:/var/www/html# git pull
root@gaon:/var/www/html# git pull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FTP 덮어쓰기===
git을 사용 할 수 없는 경우에는 FTP를 통해 덮어써야 한다.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브랜치를 확인 후,
[https://github.com/rhymix/rhymix/archive/master.zip master 브랜치],[https://github.com/rhymix/rhymix/archive/develop.zip develop 브랜치] 사용하고 있는 브랜치에 맞게 다운로드 받은 뒤, 압축 해제 후 ftp로 파일들을 업로드한다.(덮어쓰기)
==XE와의 차이점==
XE와 라이믹스는 여러 부분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라이믹스는 XE를 기반으로 나온 것이기 때문에 XE와 그누보드처럼 완전히 다른 CMS는 아니지만, 라이믹스에서는 사용 할 수 있지만 XE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차이점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믹스/XE와의 차이점]] 문서를 참고하자.
==설치==
라이믹스 설치 과정에 대해 알고 싶다면, [[라이믹스/설치]] 문서를 확인하자.
==버그==
라이믹스에 있는 버그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라이믹스/버그]] 문서를 참고하자.


=== FTP를 이용한 업데이트 ===
만약 버그가 발생했다면 [https://github.com/rhymix/rhymix/isseus 깃허브 이슈]로 이슈를 알리자. 만약 보안 버그라면 깃허브가 아닌 [mailto:devops@rhymix.org devops@rhymix.org]로 보내자.
Git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압축 파일([https://github.com/rhymix/rhymix/archive/master.zip master 브랜치])을 다운로드하여 압축 해제 후 FTP로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 XE와의 차이점 ==
라이믹스는 XE를 기반으로 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 보안 패치 및 버그 수정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집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리 도구가 개선되어 사용이 편리합니다.
* XE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일부 기능이 라이믹스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비교 내용은 [[라이믹스/XE와의 차이점]]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설치 ==
라이믹스 설치 과정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라이믹스/설치]] 문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버그 및 개선 사항 ==
또한 버그 뿐만 아니라 개선사항이 있는 경우에도 깃허브 이슈로 알리면 처리해 준다.
버그 보고 및 개선 사항 제안은 [https://github.com/rhymix/rhymix/issues 깃허브 이슈]를 통해 접수받고 있습니다. 보안 관련 버그는 [mailto:[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관리자 도구 ==
==XE Admin Help==
과거 XE 관리자 페이지의 'XE Admin Help'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습니다. 최신 공식 매뉴얼은 {{깃허브/저장소|rhymix|rhymix-docs}} 저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XpressEngine|XE]] 시절부터 관리자 페이지에서 버튼<ref>정확하게 말하자면 원 안에 물음표가 있는 버튼</ref>을 클릭하면, 'XE Admin Help' 문서가 나온다. 다만 1.7 버전의 정보이기 때문에 최신 버전과 UI나 기능들이 달라져 있다.


== 라이믹스 블랙리스트 ==
[https://github.com/rhymix/rhymix/pull/1073 오래된 XE 매뉴얼 삭제] PR을 통해 결국 사라졌다. 공식 문서는 코어에서만 제거되었을 뿐, {{깃허브/저장소|rhymix|rhymix-docs}} 저장소와 [https://rhymix.org/manual 라이믹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있다.
라이믹스는 코어 기능과의 충돌 또는 이미 통합된 기능으로 인해, 일부 XE 서드파티 모듈 및 애드온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블랙리스트를 운영합니다.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서드파티는 설치는 가능하지만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있습니다.


=== 블랙리스트 모듈 ===
==라이믹스 블랙리스트==
* ◆ [[XpressEngine/모듈/고급 메일 발송|고급 메일 발송]] 
라이믹스에서 일부 XE 서드파티들(모듈, 애드온 등)을 사용 할 없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믹스/블랙리스트]] 문서를 확인하자.
  : 외부 API 및 SMTP 서버를 사용하는 기능은 라이믹스에 통합되었습니다.
* ◆ [[XpressEngine/모듈/멀티 도메인|멀티 도메인]] 
  : 도메인 관련 기능은 시스템 설정에서 관리됩니다.
* ◆ [[XpressEngine/모듈/오류 기록|오류 기록]] 
  : 디버그 설정에서 에러 및 성능 정보를 확인할 있습니다.
* ◆ [[XpressEngine/모듈/자동 로그인|자동 로그인]] 
  : 회원 정보 화면에서 관리하며, 업그레이드 시 재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XpressEngine/모듈/엮긴글|엮긴글]]
* [[XpressEngine/모듈/CafeXE|CafeXE]] 
  : 멀티도메인 기능과 충돌하여 지원되지 않습니다.
* [[XpressEngine/모듈/XE SEO|XE SEO]]


=== 블랙리스트 애드온 ===
==여담==
* ◆ [[XpressEngine/애드온/CAPTCHA 애드온|CAPTCHA 및 CAPTCHA Member 애드온]]
여담으로 라이믹스 커뮤니티인 [[XETOWN]]에 이 문서에 대한 글이 올라왔다! [https://xetown.com/topics/1300374 XETOWN - 라이믹스를 나무위키보다 더 자세하게 기재된 곳을 발견..]
  : 더 이상 공식 지원하지 않으므로, recaptcha 애드온으로 변경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 [[XpressEngine/애드온/reCAPTCHA 애드온|reCAPTCHA 애드온]]
* [[XpressEngine/애드온/도메인 고정 애드온|도메인 고정 애드온]]
* ◆ [[XpressEngine/애드온/멀티 도메인|멀티 도메인]] 애드온
* [[XpressEngine/애드온/세션 쉴드|세션 쉴드]] 
  : 시스템 설정의 고급 옵션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 [[XpressEngine/애드온/SmartPhone XE 애드온|SmartPhone XE 애드온]]
* [[XpressEngine/애드온/언어 자동 선택|언어 자동 선택]]
* [[XpressEngine/애드온/자동으로 www를 붙여주는 애드온|자동으로 www를 붙여주는 애드온]]
* [[XpressEngine/애드온/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모듈로 통합되었습니다.
* [[XpressEngine/애드온/Elkha - www|Elkha - www]]
* [[XpressEngine/애드온/jQuery CDN for XE 1.7|jQuery CDN for XE 1.7]] 
  : 라이믹스 내 스크립트 업데이트로 인해 지원하지 않습니다.
* [[XpressEngine/애드온/UTF-8 이모티콘 지원 애드온|UTF-8 이모티콘 지원 애드온]]
* [[XpressEngine/애드온/ZipperUpper!|ZipperUpper!]] 
  : 스크립트 압축 및 합치기 기능은 시스템 설정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여담 ==
[[기진곰]]님은 해당 글의 댓글에 '''"저걸 그냥 공식 매뉴얼로 써도 되겠는데요? ㅋㅋㅋ"''' 라고 적었다.
라이믹스 커뮤니티인 [[XETOWN]]에서도 이 문서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습니다. 한 커뮤니티 구성원은 "저걸 그냥 공식 매뉴얼로 써도 되겠는데요? ㅋㅋㅋ"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인용문|이러다가 이 문서가 공식 매뉴얼로 쓰일지도?!!|김칫국 원샷중인 관리자}}
{{인용문|이러다가 이 문서가 공식 매뉴얼로 쓰일지도?!!|김칫국 원샷중인 관리자}}
 
==사용처==
== 사용처 ==
# 모든 사용처를 적을 수 없으므로, 몇개만 나열한다.
라이믹스는 다양한 커뮤니티와 웹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XETOWN]]
* [[XETOWN]]
* [[가온 위키 커뮤니티]]
* [[가온 위키 커뮤니티]]
* [https://rhymix.org 라이믹스 공식 사이트]
* [https://demo.rhymix.org 라이믹스 데모 사이트]
* [https://rxtip.kr/ 라이믹스꿀팁] (라이믹스 관련 팁 및 정보 공유)
* [https://rxtip.kr/ 라이믹스꿀팁] 라이믹스 관련 팁과 정보 공유
 
==각주==
== 각주 ==
[[분류:CMS]] [[분류:PHP 소프트웨어]] [[분류:오픈소스]] [[분류:라이믹스]]
<references />
<references />
[[분류:CMS]]
[[분류:PHP 소프트웨어]]
[[분류:오픈소스]]
[[분류:라이믹스]]

2025년 2월 27일 (목) 17:01 기준 최신판

You can also read to English!
현 라이믹스의 로고
예전 라이믹스의 로고


-

Rhyme + Remix = "RHYMIX"!

라이믹스 공식 홈페이지 깃허브 저장소

정보[편집 / 원본 편집]

XE를 포크(fork)하여 진행중인 PHP 기반의 오픈소스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으로, 기반 CMS인 XE보다 활발하게 프로젝트가 운영되고 있다. 기존의 XE가 보안패치만 진행하고 쌓여 있는 수많은 개선사항들은 추가되지 않아 XETown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XE에서 분기했을때 임시로 썼던 이름은 XETOWN Fork, XETOWN REMIX(XTR)라고 불렸다.[1] 토론을 통해 라이믹스(Rhymix)로 이름을 정했다.

라이믹스는 시급한 버그, 보안패치를 우선적으로 패치하며 보안패치로 명을 잇고 있는 XE와 호환되지만 더 빠르고 편한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

위의 내용들을 정리하자면 XE의 개선버전이라 할 수 있다.

라이믹스의 버전[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의 버전별 특징은 라이믹스/버전 문서와 라이믹스/릴리즈 노트를 확인하자.

릴리즈 노트와 Changed Files[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가 2.0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릴리즈 노트와 Changed Files를 제공한다.

각 버전별 패치 내역과 해당 버전의 압축파일, 전버전 사용자들을 위한 Changed Files를 제공한다.[1]

각 버전별 릴리즈 노트는 라이믹스/릴리즈 노트 문서에서 확인하자.

최소사양[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의 최소사양은 라이믹스/사양 문서에 적혀져 있다. 문서에 적혀져 있는 최소사양을 넘기지 못한 경우, 특히 PHP 버전을 넘기지 못하는 경우에는 라이믹스를 사용 할 수 없다.

최소사양은 XE보다 높기 때문에 XE에서 넘어오는 경우 반드시 확인해 보자!

모듈과 애드온[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에서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들이 있다. 모듈과 애드온[2]으로 불린다.

애드온의 경우 모듈 시작 전과 후 등 자유롭게 호출할 수 있지만, 모듈은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모듈로 구현이 불가능한 요소는 애드온으로 처리한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믹스/애드온 문서를 참고하자.

애드온을 남발하는 경우,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없는 모듈은 끄거나 삭제하는 것을 권장한다.

서드파티 모듈과 애드온[편집 / 원본 편집]

유저들이 모듈과 애드온들을 제작해 배포하기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모듈

애드온

그 외의 서드파티 모듈 및 애드온은 XETOWN공개자료실 (Major), 수정자료실 (Minor), XpressEngine 자료실을 포크한 Rhymix Auto Install Repository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XE에서 넘어오는 방법[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XE에서 넘어오기 문서를 확인하자!

업데이트 방법[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 뿐만 아니라 모든 소프트웨어들은 업데이트를 꾸준히 해야 한다. 특히 라이믹스는 XE와 달리 수시로 올라오기 때문에 자주 업데이트를 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더욱 더 자세한 내용은여기에서 확인하자.

git 이용[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를 git으로 clone한 경우는 간단히 git 명령어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라이믹스가 설치된 폴더로 이동한 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root@gaon:/var/www/html# git pull

FTP 덮어쓰기[편집 / 원본 편집]

git을 사용 할 수 없는 경우에는 FTP를 통해 덮어써야 한다.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브랜치를 확인 후, master 브랜치,develop 브랜치 사용하고 있는 브랜치에 맞게 다운로드 받은 뒤, 압축 해제 후 ftp로 파일들을 업로드한다.(덮어쓰기)

XE와의 차이점[편집 / 원본 편집]

XE와 라이믹스는 여러 부분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라이믹스는 XE를 기반으로 나온 것이기 때문에 XE와 그누보드처럼 완전히 다른 CMS는 아니지만, 라이믹스에서는 사용 할 수 있지만 XE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차이점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믹스/XE와의 차이점 문서를 참고하자.

설치[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 설치 과정에 대해 알고 싶다면, 라이믹스/설치 문서를 확인하자.

버그[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에 있는 버그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라이믹스/버그 문서를 참고하자.

만약 버그가 발생했다면 깃허브 이슈로 이슈를 알리자. 만약 보안 버그라면 깃허브가 아닌 [email protected]로 보내자.

또한 버그 뿐만 아니라 개선사항이 있는 경우에도 깃허브 이슈로 알리면 처리해 준다.

XE Admin Help[편집 / 원본 편집]

XE 시절부터 관리자 페이지에서 버튼[3]을 클릭하면, 'XE Admin Help' 문서가 나온다. 다만 1.7 버전의 정보이기 때문에 최신 버전과 UI나 기능들이 달라져 있다.

오래된 XE 매뉴얼 삭제 PR을 통해 결국 사라졌다. 공식 문서는 코어에서만 제거되었을 뿐, Green tickrhymix-docs 저장소와 라이믹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라이믹스 블랙리스트[편집 / 원본 편집]

라이믹스에서 일부 XE 서드파티들(모듈, 애드온 등)을 사용 할 수 없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믹스/블랙리스트 문서를 확인하자.

여담[편집 / 원본 편집]

여담으로 라이믹스 커뮤니티인 XETOWN에 이 문서에 대한 글이 올라왔다! XETOWN - 라이믹스를 나무위키보다 더 자세하게 기재된 곳을 발견..

기진곰님은 해당 글의 댓글에 "저걸 그냥 공식 매뉴얼로 써도 되겠는데요? ㅋㅋㅋ" 라고 적었다.

-

이러다가 이 문서가 공식 매뉴얼로 쓰일지도?!!

 
— 김칫국 원샷중인 관리자

사용처[편집 / 원본 편집]

  1. 모든 사용처를 적을 수 없으므로, 몇개만 나열한다.

각주[편집 / 원본 편집]

  1. main 브랜치(구 master 브랜치)에 한함
  2. 위젯도 있지만, 위젯은 엄연하게 보면 하나의 모듈이다. 레이아웃도 마찬가지.
  3. 정확하게 말하자면 원 안에 물음표가 있는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