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하는 로그인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대로 편집하면 귀하의 IP 주소가 편집 기록에 남게 됩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9화 === * '''그런 건 내가 용서 못해''' {{원|そんなの、あたしが許さない}} ** 2011년 3월 3일 방영 ** 각본 : 우로부치 겐 / 콘티:시치시마 노리코 / 연출:무카이 마사히로 / 작화감독:카타야마 미유키 ==== 줄거리 ==== <gallery perrow="2" widths="284px" heights="160px"> 파일: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TVA EP9 스크린샷3.png|사야카의 그리프 시드에서 나타난 마녀 파일: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TVA EP9 스크린샷1.png|쿄코를 데리고 도망치는 호무라 </gallery> 사야카의 소울 젬은 극도로 오염된 끝에 그리프 시드가 되어버리고, 그 그리프 시드가 부화하여 새로운 마녀 옥타비아가 나타난다. 빈 껍데기에 지나지 않은 사야카를 안고 새로이 나타난 마녀의 공격에 그저 방어밖에 할 수 없는 쿄코. 이때 마녀의 결계에 들어온 호무라는 쿄코를 이끌고 결계에서 탈출한다. 한편 마도카는 사야카를 찾던 중 쿄코와 호무라를 발견한다. 호무라는 사야카를 부여잡고 우는 마도카와 쿄코에게 냉담하게 소울젬의 마지막 비밀을 말하고 그 자리를 떠난다. 마법소녀의 진실을 알고 충격을 받고 절망한 마도카는 자신의 앞에 나타난 큐베를 추궁한다. 큐베는 자신들의 정체와 마법소녀 시스템의 의의에 대해 설명한다. 마도카는 큐베에게 항변하지만 큐베는 인류와 다른 가치관을 보이며 우주를 위해 죽어줄 생각이 들면 말을 걸어달라는 냉혹한 말을 남기고 사라진다. 쿄코는 사야카의 시체가 부패하지 않도록 마력을 사용하면서 큐베에게 사야카의 소울젬을 원래대로 돌릴 수 있는지에 대해 묻고, 애매하게 말끝을 흐리는 큐베에게서 가능성을 확신한다. 한편, 사야카가 없는 등교길에서 히토미와 대화를 나누던 중 마도카는 쿄코의 텔레파시를 받는다. 사야카를 구하기 위해 힘을 빌려달라는 쿄코에게 마도카는 기쁘게 손을 내밀고 둘은 마녀의 결계를 찾아간다. <gallery perrow="2" widths="284px" heights="160px"> 파일: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TVA EP9 스크린샷4.png|마도카에게 충고하는 쿄코 파일: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TVA EP9 스크린샷5.png|스스로 소울젬을 부수는 쿄코 </gallery> 이윽고 마녀 옥타비아의 결계를 발견하자 쿄코는 마법소녀로 변신, 결계 속을 걸어간다. 도중에 쿄코는 마도카에게 마법소녀가 되는 것에 대한 신중함과 각오에 대해 설파한다. 한순간 둘은 마녀에게 발각되고 쿄코는 마도카를 엄호하며 옥타비아의 공격에 대응한다. 마도카는 진심을 담아 사야카를 부르려 애쓰지만 마녀에게는 닿지 않는다. 마녀와의 전투 도중에 마도카는 기절하고 쿄코는 심한 부상을 입고 만다. 이때 호무라가 나타나 마도카를 보호하고, 쿄코는 호무라에게 마도카를 부탁하고, {{인용|그렇게 마지막까지 단 하나 소중한 것을 지켜나가면 돼}} 라는 격려의 말을 남긴다. 그리고 쿄코는 자신의 소울젬을 부수어 마녀와 함께 자폭하고, 호무라는 마도카를 데리고 결계를 빠져나가며 그녀의 이름을 부른다. 호무라는 큐베에게 쿄코에게 사야카를 구할 힘이 있었는지를 묻지만 큐베는 당연하다는 듯이 거짓말이라고 대꾸한다. 발푸르기스의 밤에 대응할 마법소녀가 호무라 혼자 남은 상황에서는 마도카가 마법소녀가 될 수 밖에 없다고 속셈을 이야기하는 큐베에게 호무라는 절대 네 뜻대로 두지 않을 거라 다짐한다. ==== 오프닝, 엔딩 ==== [[파일:TV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엔드카드 9화.png|썸네일|right|260px|9화의 엔드카드]] TV판으로 방영될 당시 엔딩인 'Magia'가 생략되었으며 호무라와 큐베의 대화를 배경으로 스탭롤을 표시했다. 엔드카드로는 니트로플러스 소속인 '''나마니쿠ATK'''가 그린 마법소녀 버전의 [[사쿠라 쿄코]]의 일러스트가 사용되었다. 대표 참여작으로는 '장갑악귀 무라마사', '월광의 카르네바레' 원화, '토가이누의 피' 그래픽 등이 있다. [[파일:TV 애니메이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엔드카드 9화 BD.png|썸네일|right|260px|BD판의 일러스트]] BD판에서는 기존의 엔딩곡 대신 쿄코와 사야카의 테마곡인 'And I'm home'이 사용되었고 배경 일러스트로는 아오키 우메가 직접 그린 쿄코와 사야카의 투샷 일러스트가 사용되었다. ==== 세부 관찰 ==== 사야카의 마녀화 버전인 [http://www.madoka-magica.com/tv/special/dic/card19.html 옥타비아 폰 제켄도르프](Oktavia Von Seckendorff)는 인어의 마녀로 성질은 연모이다. 지난날의 감동을 꿈꾸면서 콘서트 홀째로 이동하는 마녀로, 돌아가는 운명은 추억만을 싣고 더는 미래로 굴러가지 않는다. 더 이상 마음을 열지 않는다. 더 이상 아무 것도 신경쓰지 않는다. 지금은 그저 수하들의 연주를 방해하는 존재를 용서하지 않는다 마녀의 결계는 음악회가 열리는 홀의 모습으로 사역마는 끊임없이 오케스트라를 연주하고 있다. 편집 요약 가온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가온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